본문 바로가기
  • 수학스토리로 뇌 건강 지키미

빨간머리앤 수학13

빨간머리앤이 복잡한 수를 계산하다. #1. 빨간머리앤은 머리가 복잡합니다. "복잡한 수"란 말만 들어도 복잡해져요. 이럴 땐 숨을 크게 쉬고 먼 산을 봐요.자연은 정말 근사해요. 모든 사물과 함께 있는 나의 육체와 영혼은 대견스러워요. 여러분도 자신에게 칭찬을 해 보세요. 숨을 쉬고 있는 이 순간을 즐겨보세요. 정신없는 하루가 평안함으로 행복감을 경험할 수 있답니다. 그리고 문제해결을 한다면 그 날은 정말 기쁜날이 될 것예요.#2. 종이를 반으로 계속 50번을 접을 수 있다면 태양까지 도달할 수 있을까? 정말 엉뚱해요. 왜 궁금해하는지 모르겠어요.눈부신 태양은 다가갈 수 없는데... 태양과 적당한 거리를 유지해야만 우리한테 유익한 에너지로 활용되며 만물이 생장하죠. 아무튼 고민을 같이 해결 해 봐요. 먼저 종이의 두께를 알아야 해요. 그래.. 2025. 3. 19.
빨강머리앤이 수학공부에 도전하다 #1. 문학적인 감성이 풍부한 앤이 수학을 잘 할 수 있을 거라 예상하는 것은 이름을 붙여주는 것을 좋아한다는 것입니다. 수학은 이름을 기억하고 출발하면 반은 이해가 된 것입니다. #2. 앤은 어떻게 로그함수를 이해하려고 노력했는지 살펴봅시다. 함수는 정의역과 공역에서 하나씩 공역에 대응시킬 때 대응 규칙 즉 x(정의역)와 y(함숫값)과의 관계로 이름을 붙여줘~지수함수란 밑은 고정, 변수x가 지수로 y 함숫값이 결정되는 함수, 지수함수는 밑이 1보다 큰 경우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함수, 즉 일대일대응이므로 역함수가 존재한다네!!!! 그 역함수가 바로 이름하여 "로그함수라네~"역함수 구하는 방법은 밑은 고정 x와 y자리 바꿔!!! y에 관하여 정리하면 바로 "로그함수가 만들어진다네~" #3. 앤은 마릴라.. 2025. 2. 14.
지수함수통의 재해석 #1. 위 그림은 통 안에 들어갔다가 나오면  토끼가 지수적으로 증가하는 신기한 통입니다. 이런 신기한 통이 실제로 존재한다면 토끼의 개체수가 증가하여 지구를 토끼가 정복할 수도 있다는 상상을 해 봅니다. 그리고 신기한 통에 넣었다 나오면 줄어들기도 한다고 합니다. 이런 신기한 통을 그냥 통통통이라 부르면 정체성이 없게 느껴지니 근사한 이름을 붙여준다면 지수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통의 이름은  "지수함수통"라 불러줍시다. 라고 명명하면 그렇게 부르고 인지하게 됩니다.상상만 해도 흥미롭다고 생각되지 않나요?  상상은 현실원칙을 따라 살아가는데 어려움을 극복하는데 도움이 되기도 합니다. 횡설수설했답니다. #2. 현상을 관찰하고 변화를 수학적 모델링하여 여러 분야에서 학술적인 연구 결과를 만들어 냅니다. .. 2025. 2. 7.
뇌수학 #1. 단서 제시가 행동을 촉발하고 반복적으로 그 단서에 노출되면 행동이 반복되어 습관 반응이 생기며 이 과정에 보상을 주면 그 행동을 좋아하고 몰두하게 된다. 공부를 습관화하는 과정에서 감정은 거의 도움이 되지 않거나 방해로 작용한다. 그래서 습관화하려면 감정이 개입하기 전에 자동반응 행동을 설계하여 무의식적으로 반복 노출하면 된다. 알고 싶다는 감정만 앞세우고 행동하지 않는 사람은 계속해서 제자리를 맴돌 확률이 높다. 반면에 느낌보다 행동을 앞세우면 단계적으로 알게 되고 점차 익숙해져 공부가 편해진다. 공부가 편해지면 더 어려운 내용에 도전해볼 여유가 생겨나고 미지의 세계로 향해할 수 있게 된다. 감정을 앞세우면 공부는 어렵게 느껴지거나 지루해지지만 감정을 배제하고 행동을 먼저 하면 점차 할 만한 상.. 2025. 2. 6.
상용로그 재해석 #1. 수학이 어렵고 잼없는 이유는 다양한 "수"를 읽는 것을 못하기 때문입니다. 다양한 "수"를 읽고 표현하는 것을 받아드린다면 좀 나아질 겁니다.#2. 거듭제곱에서 "지수"를 뜻하는 "로그"라고 표현하고 "로그"라는 "수"를 알게 되었습니다. 거듭제곱 수 중에 가장 보편성을 지닌 수는 바로 밑이 10인 거듭제곱 수랍니다. 다음 처럼 "수"를 읽어봅니다.(3번 소리내서 ㅎㅎㅎ)#3. 수학자 네이피어가 "로그"를 발명하여 천문학, 항해술, 물리학 등 과학의 발전에 기여하게 되었답니다. " 로그의 탄생"으로 매우 큰 수거나 매우 작은 수를 곱하거나 나눌 때 "로그" 수로 변환하여  더하기와 빼기 계산을 찾아냈답니다. 네이피어의 영향으로 영국 수학자 브리그스는 밑을 10으로 하는 로그를 상용로그를 만들고 상.. 2025. 1. 30.
라디안 (rad) 재해석 #1. 각이란? 반직선으로 이루어진 도형 즉 직선이 기운 정도를 기울기라고 부르지만 기운 정도를 각으로도 나타낼 수 있습니다. 탄젠트의 값이 기울기가 됩니다. 직각삼각형에서 밑변분의 높이를 말합니다. 각은 측정을 합니다. 각도기를 이용하여 잰 값을 몇 도라고 읽습니다. 이 때 각도기는 측정도구라서 측정할 수 있는 한계가 있습니다. 1도와 2도 사이, 1도와 2도 사이의 사이, 1도와 2도사이의 사이의 사이가 궁금할 수있습니다. 각도기로는 정확하게 알 수가 없습니다.#2. 각을 새롭게 정의를 합니다. 반지름이 1인 원에서 시작합니다. 이 원을 단위원이라 부릅니다. 원에서 실수의 값으로  표현하는 것이 반지름과 원주가있습니다. 그래서 반지름의 길이가 r일 때 원주의 길이는 2파이알인 것을 누구나 알고 있습니.. 2025. 1. 27.